2026 최저 시급이 확정되면서 많은 근로자들이 가장 궁금해하는 것은 바로 “내 월급이 얼마나 될까?”입니다. 본 글에서는 최저시급 10,320원을 기준으로 다양한 근무 형태에 따른 월급 계산법을 예시와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2026 최저 시급은 얼마인가요?
2026년 최저임금위원회는 시간당 ₩10,320으로 2026 최저 시급을 확정했습니다. 이는 2025년보다 290원 인상된 금액으로, 인상률은 2.9%에 해당합니다. 주 40시간 기준, 주휴수당을 포함한 월 환산액은 ₩2,156,880입니다.
이번 인상은 물가 상승률과 중소기업 경영 부담을 동시에 고려한 결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특히 편의점, 외식업 등 최저임금 영향을 많이 받는 업종에서는 인건비 조정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반면 저소득 근로자들에게는 실질 소득 상승 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 양면의 반응이 존재합니다.
기본 공식으로 계산하는 월급
1. 월급 공식 (209시간 기준)시급 × 209시간 = 월급
- 예:
10,320 × 209 = ₩2,156,880
2. 연봉 환산 공식월급 × 12개월 = 연봉
- 예:
₂,156,880 × 12 = ₩25,882,560
근무 형태별 예상 월급 계산 예시
주 40시간 근무 (기본형)
10,320 × 209시간 = ₩2,156,880
주 35시간 근무
10,320 × 35시간 × 4.345주 = 약 ₩1,569,012
주 52시간 근무 (연장근로 포함)
- 기본:
10,320 × 40시간 × 4.345 = ₩1,792,896
- 연장:
10,320 × 12시간 × 1.5배 × 4.345 = ₩802,752
- 합계: ₩2,595,648
주휴수당 미포함 근무
10,320 × 173시간(주휴 미포함 기준) = ₩1,785,360
수당이 포함되면 어떻게 계산하나요?
1. 연장/야간/휴일 수당 계산
- 법정 수당은 시급의 1.5배
- 예: 야간 10시간 근무 →
₩10,320 × 1.5 × 10 = ₩154,800
추가
2. 복리후생비 포함 여부
- 식대, 교통비 등은 일부 최저임금에 포함될 수 있음 (근로계약 확인 필수)
FAQ
Q1. 최저시급으로 계약해도 주휴수당이 포함되나요?
A. 네, 주 15시간 이상 근무 시 주휴수당이 포함되어야 하며, 이는 월급 계산의 209시간 기준에 반영되어 있습니다.
Q2. 수습 기간에는 월급이 줄어드나요?
A. 수습 근로자의 경우 3개월 이내엔 최저임금의 90%까지 지급할 수 있지만, 단순노무 업무는 제외됩니다.
Q3. 시급 계산기가 따로 있나요?
A. 고용노동부 공식 사이트에서 ‘최저임금 모의 계산기’를 활용하면 개인 조건에 맞는 계산이 가능합니다.
이제 2026년 기준으로 나의 근무 형태에 맞춘 정확한 월급을 스스로 계산해볼 수 있습니다. 블로그나 SNS에 공유해 많은 이들이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필요시 맞춤형 계산 예시나 이미지를 함께 제공해드립니다.
추가로, 프리랜서나 파트타임처럼 근무 시간이 유동적인 경우에는 월 근무시간을 정확히 파악하고, 주휴수당 포함 여부도 반드시 확인해야 실제 수령 급여와 차이가 나지 않습니다. 또한 세금, 4대보험 공제 후 실수령액은 달라질 수 있으므로, 고용형태에 따라 별도 계산도 권장드립니다. 각자의 상황에 맞춘 시뮬레이션이 필요하시면 언제든 댓글이나 메시지로 요청해 주세요!